프로세스 관리(2)
-
[운영체제] 프로세스 교착상태 및 해결방법
교착상태(Dead Lock)란 상호 배제*의 원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양보 없이 다른 프로세스가 차지한 자원을 요구하면 계속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상호배제 특정 프로세스가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다른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게 막는 기법 1차선 도로에서 차가 양방향으로 진입해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착상태가 발생하려면 아래의 4가지의 조건이 충족돼야 합니다. 4가지 중 하나라도 미충족 된 상태면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충족 요건 내용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자원은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음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최소 하나의 자원을 점유..
2023.01.10 -
[운영체제] 프로세스 관리(선점 스케줄링)
선점 스케줄링이란 현재 CPU에서 처리 중인 작업이 있는 상태지만 다른 작업들이 프로세서를 뺏을 수 있는 작업처리 방법을 의미합니다. 선점 스케줄링에는 선점 우선순위, SRT(Shortest Remaining Time), RR(Round Robin), 다단계 큐, 다단계 피드백 큐 등의 기법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선점 우선순위는 큐에 대기 중인 작업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에게 CPU 우선 사용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비선점 우선순위 기법을 선점 형태로 변경한 방법으로 큐에 도착한 작업의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현재 CPU에서 처리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됩니다. SRT(Shortest Remaining Time) 비선점 기법 중 SJF를 선점 형..
202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