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7)
-
[정보처리기사] 정보시스템이란? 정보처리를 위한 시스템 종류는?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란 기업(조직)에 필요한 자료(Data)를 수집, 저장 후 필요시에 가공의 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Information)로 생성 후 분배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경영 정보 시스템, 군사 정보 시스템, 인사 정보 시스템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료(Data)와 정보(Information)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자료는 가공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단순히 수집된, 즉 별다른 의미가 없이 나열된 값들을 의미합니다. 반면 정보는 의미 없이 나열된 값(정보)들을 가공 및 처리의 과정을 거친 후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형태로 변형시킨 결과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자면 구분..
2023.03.23 -
[운영체제] 기억장치 관리전략
기억장치 라고 하면 보통 SSD나 하드디스크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는 위 두 개의 기억장치 이외에도 많은 기억장치가 있으며 각각의 기억장치들은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억장치 계층 기억장치는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를 다음과 같이 계층 구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계층 구조에서 상위에 위치한 기억장치(레지스터)일수록 접근 속도와 접근 시간이 빨라집니다. 하지만 좋은 기능을 보이면 당연히 비싸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반대로 보조기억장치(예: USB메모리)는 낮은 가격으로 대용량의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읽고 쓰는데 시간이 다른 기억장치들보다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 외의 특징으로, 주기억장치는 각기 자신의 주소를 갖고 있어..
2023.01.13 -
[운영체제] 프로세스 교착상태 및 해결방법
교착상태(Dead Lock)란 상호 배제*의 원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양보 없이 다른 프로세스가 차지한 자원을 요구하면 계속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상호배제 특정 프로세스가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다른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게 막는 기법 1차선 도로에서 차가 양방향으로 진입해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착상태가 발생하려면 아래의 4가지의 조건이 충족돼야 합니다. 4가지 중 하나라도 미충족 된 상태면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충족 요건 내용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자원은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음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최소 하나의 자원을 점유..
2023.01.10 -
[운영체제] 프로세스 관리(선점 스케줄링)
선점 스케줄링이란 현재 CPU에서 처리 중인 작업이 있는 상태지만 다른 작업들이 프로세서를 뺏을 수 있는 작업처리 방법을 의미합니다. 선점 스케줄링에는 선점 우선순위, SRT(Shortest Remaining Time), RR(Round Robin), 다단계 큐, 다단계 피드백 큐 등의 기법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선점 우선순위는 큐에 대기 중인 작업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에게 CPU 우선 사용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비선점 우선순위 기법을 선점 형태로 변경한 방법으로 큐에 도착한 작업의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현재 CPU에서 처리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됩니다. SRT(Shortest Remaining Time) 비선점 기법 중 SJF를 선점 형..
2023.01.09 -
[운영체제]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
운영체제가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비선점 스케쥴링과 선점 스케줄링의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은 비선점 스케줄링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비선점 스케줄링에는 선입선출(FCFS), 단기 작업 우선 처리(SJF), 최상 응답 비율 순서(Highest response-ratio next, HRN), 기한부(Deadline), 우선순위(Priority)의 방식이 있습니다. 선입선출(First Come First Service) FIFO(First In First Out)이라고도 부르며 준비상태 큐(Queue)에 도착한 순서대로 CPU를 할당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간단한 방식이며 구현하기가 쉽습니다. 선입선출의 특징은 도착한 순서대로 작업 처리 순번이 부여가 되기에 공평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작업..
2023.01.08 -
[데이터베이션] 자료구조 이진 트리 및 이진 탐색 트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진 트리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트리의 기본 개념에 대해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3 - [Intelligence Technology]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트리(Tree)의 개념(비선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트리(Tree)의 개념(비선형 구조) 오늘은 자료 구조 중 비선형 구조에 해당하는 트리(Tree)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선형구조 자료 구조에 대해 확인을 하시고 싶으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2 - [Intelligen ddoggu2023.tistory.com 이진트리(Binary Tree)란 차수(Degree)가 2 이하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입니다. 즉, 자식 노드..
202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