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특징(2)
-
[데이터베이스] 관계대수의 개요 및 연산자별 특징
관계 대수의 개요 관계 대수는 순수 관계 연산자와 일반 집합 연산자로 이루어집니다. 해당 연산자들은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로 관계형 DB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 규칙을 제공하는 언어로 결과도 원하는 값들로 이루어진 릴레이션으로 표시됩니다. 순수 관계 연산자에는 Select, Project, Join, Division이 있으며 일반 집합 연산자에는 Union(합집합), Intersection(교집합), Difference(차집합), Cartesian product(교차곱)가 있습니다. 그러면 순수 관계 연산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튜플, 속성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12 - [Intelligence ..
2022.10.12 -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는 1) 개체(Entity)나 2) 관계(Relationship)를 릴레이션(Relation)이라는 표(Table)로 표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개체를 표현하는 릴레이션을 개체 릴레 이션이라고 부르며,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릴레이션도 있습니다. 표로 표시를 하는 만큼 보기에도 간결하고 편하며 다른 관계형 DB로의 변환도 쉽습니다. 하지만, 표에서 직접 검색 후 값을 찾기에 성능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종류(R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제조사 주요 내용 Oracle Oracle - 가장 많이 사용하는 RDBMS - Unix, Linux, Windows 등의 대부분 운영체제에서 구동이 가능 - 중견기업 및 대기업과 같..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