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
-
[운영체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념 및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가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많은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이 되기에 두 개를 동일시하기도 합니다. 주로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적재시키거나 인터럽트 관리, 장치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기능별로 1)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과 2) 처리 프로그램(Processing Program)으로 구분이 되며 기능별로 담당하는 고유의 역할이 있는데 우선 제어 프로그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은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작업 제어 프로그램(Job Contr..
2022.11.16 -
[데이터베이스] 정렬(Sort)의 종류 및 특징
정렬은 무작위로 섞여있는 자료들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리를 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코딩을 하시다 보면 sorting은 정말 자주 쓰이는 문법인데 method()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래도 어떤 원리로 작동을 하는지 아시면 상황에 맞는 코딩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실 겁니다. 우선 sorting을 하시기 전에 현재 데이터들이 어떤 상태인지를 아셔야 합니다. 1. 데이터의 양 2. 어떤 상태로 배열이 되어 있는지 3. 작업시간 및 소요공간 데이터들이 수억 개가 넘어가면 sorting의 종류에 따라서도 응답 시간이 많이 달라집니다. 그럼 각각의 정렬에는 어떤 분류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삽입 정렬은 가장 간단한 구조의 정렬 방법입니다..
2022.10.25 -
[데이터베이션] 자료구조 이진 트리 및 이진 탐색 트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진 트리에 대해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트리의 기본 개념에 대해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3 - [Intelligence Technology]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트리(Tree)의 개념(비선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트리(Tree)의 개념(비선형 구조) 오늘은 자료 구조 중 비선형 구조에 해당하는 트리(Tree)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선형구조 자료 구조에 대해 확인을 하시고 싶으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2 - [Intelligen ddoggu2023.tistory.com 이진트리(Binary Tree)란 차수(Degree)가 2 이하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입니다. 즉, 자식 노드..
2022.10.23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트리(Tree)의 개념(비선형 구조)
오늘은 자료 구조 중 비선형 구조에 해당하는 트리(Tree)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선형구조 자료 구조에 대해 확인을 하시고 싶으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2 - [Intelligence Technology]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의 개념 및 처리 방법 비교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의 개념 및 처리 방법 비교 지난 시간에는 선형 구조의 저장방법인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같은 선형구조로 분류는 되지만 다른 방식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스택(Stack), 큐(Queue), 그리고 데크(Deque)에 대 ddoggu2023.tistory.c..
2022.10.23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의 개념 및 처리 방법 비교
지난 시간에는 선형 구조의 저장방법인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같은 선형구조로 분류는 되지만 다른 방식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스택(Stack), 큐(Queue), 그리고 데크(Deque)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리스트에 관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10.22 - [Intelligence Technology]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의 개념 및 리스트(List)의 특징(선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의 개념 및 리스트(List)의 특징(선형 구조) 자료구조(Data Structure)란 프로그램 구동을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어떻게 저장공간에 저장할지와 저장된 자료들을 어떤 형태로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처리를 하는지를 다룹니다. 자료구조 ddog..
2022.10.22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 정의와 특징, 계층구조
‘스키마(Schema)’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 ‘스키마’라는 단어가 어디에서부터 생겨난 것인지에 대한 유래를 알고 전반적인 이해가 쉬우시리라 생각됩니다. 스키마라는 단어는 ‘형태’ 또는 ‘모양’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데이터 과학, 마케팅 및 심리학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심리학의 경우 정신건강의학에서 인지행동치료 시 적용할 수 있는 스키마 이론이라는 개념으로 오늘 우리가 이야기 할 컴퓨터 과학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에 대한 스키마와는 다르므로 이 점을 구분하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러면 오늘 우리가 이야기할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위에서 잠깐 언급하였듯 스키마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데이터의 구조’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2022.10.22